전체 글 43

[컴퓨터 구조] 성능 평가

숭실대학교 하석재 교수님의 2022-1학기 컴퓨터 구조 강의를 정리 및 재구성했다. - 성능이란? - 컴퓨터 성능의 기준 1. 응답시간 (Execution time) -실행 시간이라고도 한다. 컴퓨터가 태스크(task)를 완료하기까지의 총 소요시간이다. 디스크 접근, 메모리 접근, 입출력 작업, 운영체제 오버헤드 및 CPU 시간을 다 포함한다. 2. 처리량 (Throughput, Bandwidth) - 대역폭이라고도 한다. 단위 시간당 완료하는 태스크(task)의 수. - 클럭 사이클 - 거의 모든 컴퓨터는 하드웨어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클럭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데, 이 클럭의 시간 가격을 "클럭 사이클(Clock cycle)"이라한다. - 1Ghz의 프로세서의 경우 10억분의 1초. - 빛..

컴퓨터 구조 2022.08.23

[컴퓨터구조] 컴퓨터 추상화

숭실대학교 하석재 교수님의 2022-1학기 컴퓨터 구조 강의를 정리 및 재구성했다. - 추상화란?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핵심 기술 중 여러 수준에서 설계를 명시하는 것으로, 하위 수준에서 상세한 사항을 안 보이게 함으로써 상위 수준 모델을 단순화 시키는 방법이다. -ISA(Instruction Set Architecture) -하드웨어와 최하위 계층 소프트에어 사이의 인터페이스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인식해서 기능을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계어 명령어 -마이크로프로세서마다 기계어 코드의 길이와 숫자 코드가 다르다. -기계어/어셈블리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해서 알아야하는 모든 정보를 말한다. -레지스터, 메모리 접근, 입출력 등 -프로그래머가 저수준 세부사항까지 걱정할 필요는 없..

컴퓨터 구조 2022.08.23

[컴퓨터 구조] 컴퓨터 구조 기초

숭실대학교 하석재 교수님의 2022-1학기 컴퓨터 구조 강의를 정리 및 재구성했다. -대표적 컴퓨터 구조 노이만 아키텍쳐 - 메모리에 적재된 프로그램이 명령어 / 데이터가 혼재되는 형태 -반드시 시작주소 부터 프로그램이 실행되어야 한다. -명령어와 데이터가 위치에 따라 의미가 달라짐 하버드 아키텍쳐 -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가 분리되어 저장됨 - 메모리 주소에 따라 같은 데이터가 의미가 달라지지 않는다. - 성능면에서 장점을 가지지만 비교적 구조가 복잡 현재의 컴퓨터 구조 - 메모리는 노이만 구조, 캐시는 하버드 구조를 채택함 -캐시는 명령어 캐시 + 데이터 캐시로 분리해서 관리 -컴퓨터 언어 저수준 언어 - Mnemonic(기계어) -0101 1010 001 - Assembly (어셈블리) -..

컴퓨터 구조 2022.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