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지점 서버에서 로그인 기능 구현을 할 때, JWT를 이용한 토큰 기반의 인증/인가 방식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다만, JWT 옆에 따라 붙는 키워드가 쿠키, 세션, Redis등 같이 몇 가지가 있는데, 가장 많이 언급이 되고 비교가 되는 인증/인가 방식이 쿠키 + 세션 로그인 방식이다. 하지만, 구글링을 해보았을때, JWT 기반 (+Spring Security) 글이 훨씬 많았고, 본인도 충분한 고민 없이 해당 방식으로 구현을 해본 거 같다. 그러므로, 토큰, 세션방식의 장단점을 알고, 왜 해당 방식으로 구현했는지는 알아둘 필요가 있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서 해당 글을 쓰게 되었다. 세션 기반 인증의 단점? 보통 세션 방식의 로그인 방식을 언급할 때 나오는 단점은 몇가지가 있는데, 크게 WAS 서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