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우리에게 제일 친숙한 번역기라고 하면 구글 번역기와 네이버 파파고 아닌가 생각이 든다. 오늘은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Papago 번역 API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얘기해보고자 한다.
공식 문서는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https://developers.naver.com/docs/papago/papago-nmt-overview.md
Papago 번역 - Papago API
Papago 번역 개요 Papago 번역 개요 Papago 번역은 Papago의 인공 신경망 기반 기계 번역 기술(NMT, Neural Machine Translation)로 텍스트를 번역한 결과를 반환하는 RESTful API입니다. Papago 번역으로 번역할 수 있
developers.naver.com
지원하는 원본 언어(번역하려는 언어, source language)와 목적 언어(번역 되어지는 언어, target language) 쌍이다. 다양한 언어를 많이 지원하고 있고, 이는 API구현할때의 코드에서 직접 개발자가 설정할 수 있다. 이 부분은 뒤에서 설명하고자한다.
등등.. 다른 언어들도 많다.
Papago 번역 API는 비로그인 방식 오픈 API이다. 즉, 네이버 오픈 API에서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아이디와 시크릿 값만 전송해 사용할 수 있다. 위 두 요소는, 네이버 오픈 API에서 인증된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수단이다. 즉, 클라이언트 아이디와 시크릿 키를 발급 받고, API를 가져다 사용하면 끝이다. (로그인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렇기에 당연하게도 다른 소셜 로그인 API를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간단하게 사용가능하다.)
[사전 준비사항]
우선 앞에서 얘기했듯이 네이버 개발자 센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클라이언트 아이디와 시크릿 키를 발급받아야한다.
1. 어플리케이션 등록
네이버 개발자 센터의 Application > 어플리케이션 등록에 들어가서
사용하고 싶은 어플리케이션 이름을 작성하고, 사용 API는 papago 번역, 서비스 환경은 본인이 API를 구현하려는 어플리케이션 종류를 선택하면 된다( Web, ios...). 난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구현하는 것이라 웹 서비스 URL을 적었다.
2. 어플리케이션 등록 확인
등록 후 내 어플리케이션이 제대로 등록이 되었나 확인한다.
네이버 개발자 센터의 Application > 내 어플리케이션 메뉴 아래에 등록한 어플리케이션 이름이 보이고 , 우리가 필요한 클라이언트 아이디와 클라이언트 시크릿 키가 보이게 된다.
그 아레에 보면 파파고 NMT API 가이드라는 곳에 cURL 명령어가 나와있다. 이 명령어를 기반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프레임워크로 변환해주면 되는데, 네이버 개발자 사이트에선 친절하게도 API 구현예제로 친절하게 작성해줬다.
전체적인 API 레퍼런스는 Documents > 파파고 > papgo 번역의 API레퍼런스를 참고하면 되고,
구현예제는 바로 아래에 페이지를 따로 만들어져있다.
REST API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만 알고 있는 상태였는데도 이렇게 구현예제까지 친절하게 참고 할 수 있어서 손 쉽게 구현할 수 있었다. 나는 Node js를 사용하고 있었기에
해당 내용을 참고했다.
위 코드를 자신이 구현한 Rest API에 맞게 추가하면 되는데, 수정해야 될 부분은
1. 3번째, 4번째 줄에 있는 client_id와 client_secret변수에 앞서 발급받았던 클라이언트 아이디와 클라이언트 시크릿 키를 작성해주면 된다.
var client_id = 'YOUR_CLIENT_ID'; // 이곳에 발급받은 클라이언트 아이디
var client_secret = 'YOUR_CLIENT_SECRET'; // 이곳에 발급받은 시크릿 키
2. options 변수의 form 앞에서 얘기했던 원본언어(번역하려는 언어), 타겟 언어(번역 되어지는 언어)를 설정하면 된다.
var options = {
url: api_url,
form: {'source':'ko', 'target':'en', 'text':query},
headers: {'X-Naver-Client-Id':client_id, 'X-Naver-Client-Secret': client_secret}
};
지금 현재는 source가 ko이고 target이 en이기에 한국어를 작성하면 영어로 번역해주는 API이다.
위 수정사항만 본인 것에 맞게 수정하면 사용할 수 있다.
'외부 API 사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모델 Dall-e 사용해보기 (with API) (0) | 2022.08.26 |
---|